|
세계보건기구(WHO)와 국제 산부인과학회에서는 초산 여부에 관계없이 35세가 넘어 임신한 여성을 '고령 임산부'라고 정의하고 있습니다.
고령임신은 젊은 임산부보다 초기 유산률, 다운증후군 같은 염색체 이상, 태아기형, 그리고 임신중독증의 발생률이 높아
반드시 염색체 검사와 산전정밀 초음파검사 그리고 임신말기 임신 중독증 등의 임신에 따른 합병증의 검사가 필요합니다.
따라서 35세 이상의 고령 임산부는 전문가를 찾아 적절한 상담과 관리를 받아야 합니다.
- 유산, 자궁 외 임신의 가능성 증가
- 임신성 고혈압, 임신성 당뇨 발병률 증가
- 조산과 저체중아 출산의 증가
- 태반조기박리나 전치태반의 위험성 증가
다운증후군의 증가
- 산후 회복이 지연
뒤늦게 임신한 경우라도 출산 경험이 있는 다산부는 고령 초산부에 비해
기형아 출산이나 임신중독증, 난산의 위험이 상대적으로 적다고 생각하실지 모르지만
고령 임신으로 인해 나타나는 문제는 다산부라고 해서 결코 예외일 수 없습니다.
위와 같이 고령 임신은 산모와 태아 모두에게 위험성이 높은 임신이므로 임신 중에 철저하게 규칙적인 진찰을 받아야 합니다.
가장 중요한 것은 임신 중 필요한 진단 검사는 꼭 받고, 미리 대비할 수 있는 상황들에 대해서는 확실히 치료받고 대처하는 것입니다.
비만이 되지 않도록 칼로리를 제한하고, 양질의 단백질과 비타민을 충분히 섭취하는 한편,
자연 분만을 하기 위해서는 무리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꾸준히 운동을 해서 체력을 기르도록 합니다.
고령 산모뿐 아니라 일반산모와는 달리 당뇨, 고혈압, 갑상선 질환 등의 질병을 가진 여성이
임신을 하거나 과거의 임신에서 태아 사망, 조기분만, 조기 양막 파수, 태아발육 이상 등의 경험이 있는 경우를 말합니다.
고위험 임신의 경우에는 산모 및 태아의 이환율이 증가하고 태아의 사망 및 장애의 빈도가 높습니다.
그러나 나무정원 고위험임신 클리닉에서는 임신 중 세심한 산전관리를 함으로써 안전한 임신 및 출산을 도와드립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