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생아/소아/청소년과

신생아 난청진단

신생아 난청이란?

신생아 난청의 유병율은 신생아 1000명 중 1∼3명꼴로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 중 양측성 고도난청(70dB HL 이상)은 1000명당 1명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2004년에 태어난 신생아는 약 54만 명으로, 말-언어 발달지연 및 학습장애를 가져올 수 있는 양측 30dB 이상의 난청을 가진 신생아가 한해 동안 1350여 명이 발생한다고 추정되며방치했을 경우 말-언어 발달을 기대하기 힘든 양측성 중고도 이상 난청이 970여명, 양측성 고도 난청이 500여명 정도씩 새로이 발생한다고 추정되고 있습니다.

신생아 난청의 원인은 유전적인 요인과 비 유전적인 요인이 절반씩 차지하고 있으며 쉽게 알 수 없기 때문에 주의하지 않으면 두 돌이 지나기까지 가족도 모르고 지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그리고 이 기간의 시기는 언어나 지각의 발달에 매우 중요한 기간이므로 생후 처음 2년 동안 청각경로의 발달은 말소리를 듣는 것에 크게 영향을 받는데, 특히 가장 중요한 시기인 출생 후 첫 1년 동안에 소리를 듣지 못하면 청각신경전달로의 형태적, 기능적 발달에 지장을 초래하며 성장 후 보청기에 의한 재활도 상당히 어려워져 언어장애로 이어지며 정상적인 사회생활을 영위하기 어려워집니다.

따라서 난청의 조기 발견이 필요합니다. 2003년 미국 Public Health Service의 ‘Healthy People 2010’에서는 생후 1개월에 청력선별검사가 시행되어야 하고 3개월 안에 난청을 진단하고 6개월 안에 청각재활을 시작해야 된다고 하였습니다.

신생아 청력선별검사 프로그램

신생아 청력선별검사 프로그램은 전체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는 일반적인 청각선별검사와 난청 고위험군 신생아 또는 중환자실의 신생아를 대상으로 하는 고위험군 청력선별검사로 구분합니다.

실제 전체 신생아 중에서 중환자실에 입원한 신생아의 비율은 10∼16%이고, 이 중 난청은 2.5∼10%로 유별율이 매우 높습니다. 따라서 좀더 적극적인 청력선별검사가 필요하며, 모든 중환자실 신생아가 선별검사를 받아야 하며 부득이한 경우 최소한 퇴원 전에는 꼭 선별검사가 이루어져야 합니다.
2000년 미국의 신생아 청력 검사를 위한 공동 위원회(JCIH) 모든 신생아는 청력선별검사를 받아야 하고 검사를 통과하지 못한 신생아는 생후 3개월 이내에 추적검사를 받아야 하고 난청으로 진단된 영아는 생후 6개월 이내에 중재를 받아야 하고 고위험군 신생아는 청각적 검사를 지속적으로 받아야 한다고 권고하고 있습니다.

신생아 청각선별검사

신생아 난청은 이음향방사검사(OAE)와 청성뇌간유발검사(ABR)로 용이하게 진단을 내릴 수가 있으며 자동화된 청성뇌간유발검사기기가 개발되면서 한층 더 용이하게 검사가 가능해졌습니다.

난청의 고위험군-모든 신생아에 대한 선별검사가 불가능할 때 이용(JCIH 1994)

  1. 유전성 감각신경성 난청의 가족력
  2. 태아 때의 감염
  3. 두개안면부의 기형
  4. 출생 체중 < 1500g
  5. 교환수혈이 필요한 정도의 과빌리루빈혈증이 있는 경우
  6. 아미노배당체를 포함하는 하나 이상의 이독성 약물의 사용력이 있거나, 고리니뇨제와 함께 상요한 경우
  7. 세균성 수막염
  8. 아프가 점수(Apgar score) : 1분에 0∼4, 5분에 0∼6점
  9. 인공호흡기의 사용 ≥ 5
  10. 감각신경성 난청이나 전음성 난청과 관련된 것으로 알려진 증후군의 징후 혹은 임상적 소견이 있을 때

상담 및 재활치료

신생아 청력선별검사에서 ‘의뢰’나 난청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포괄적인 검사를 받아야 합니다. 감각신경성 난청이 있는 것으로 밝혀진 경우는 바로 보청기 착용과 재활을 시작해야 합니다. 어린이에게는 귀걸이형 보청기를 가장 많이 사용하는데, 적용 가능한 청력장애의 범위가 넓고 성장에 따라 쉽게 조절이 가능하며 내구성이 뛰어나지만 외형상 잘 보인다는 단점이 있습니다.

고도 난청의 경우, 적응증이 된다면 인공와우이식 수술을 고려할 수 있습니다. 조기에 시작한 청력재활을 통해서 뇌의 청각중추를 자극해 언어발달을 유도하고 나중에 인공와우이식 수술을 하더라도 좀 더 나은 결과를 기대할 수 있습니다.

병원명: 나무정원 여성병원     사업자등록번호: 127-92-42386     대표: 이성훈     대표전화번호: 031-859-1231
주소: 경기도 양주시 평화로 1489번길 19-11 (덕계동 513-14번지)     개인정보처리방침 개인정보관리책임자: 이성훈

COPYRIGHT 2017 NAMUJUNGWON WOMEN'S HOSPITAL LTD. ALL RIGHTS RESERVED

전화
031-859-1231
상담 진료 당직